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| 이전 판 | ||
k:hangul:start [2023/11/01 14:37] – [한글의 구성] jangdokdae | k:hangul:start [2023/11/01 17:58] (현재) – [한글의 역사] jangdokdae | ||
---|---|---|---|
줄 20: | 줄 20: | ||
^ 시기 | ^ 시기 | ||
^ 1443 | 한글 창제 | ^ 1443 | 한글 창제 | ||
- | ^ 1446 | ⟨훈민정음 (해례본)⟩ 반포 | + | ^ 1446 | ⟨훈민정음(해례본)⟩ 반포 |
^ 1700년대 | ^ 1700년대 | ||
^ 1907 | ⟨국문연구소⟩ 설치 | ^ 1907 | ⟨국문연구소⟩ 설치 | ||
- | ^ 1945 | ⟨한글날⟩ | + | ^ 1931 | ⟨조선어학회(현, |
- | ^ 2012 | 한글날 공휴일 지정 | + | ^ 1945 | ⟨한글날⟩을 양력 |
+ | ^ 1947 |『표준 조선말 사전』 | 이윤재 | ||
+ | ^ 1957 |『조선말 큰사전』 | ||
+ | ^ 1961 |『국어대사전』 | ||
+ | ^ 2012 | 한글날 공휴일로 재지정 | ||
==== 한글의 창제 ==== | ==== 한글의 창제 ==== | ||
==== 한글의 명칭 (언문 ~ 조선글, 한글) ==== | ==== 한글의 명칭 (언문 ~ 조선글, 한글) ==== | ||
줄 32: | 줄 36: | ||
^ 김치 / | ^ 김치 / | ||
- | ^ 김 | ㄱ | ㅣ | ㅁ | | + | ^ 글자 |
- | ^ ::: | + | ^ |
- | ^ | + | ^ |
- | ^ ::: | + | ^ - | 자음 |
==== 한글의 자모 ==== | ==== 한글의 자모 ==== | ||
줄 41: | 줄 45: | ||
=== 기본 자모 (24) === | === 기본 자모 (24) === | ||
- | ^ | + | ^ 기본 |
^ ::: | ^ ::: | ||
- | ^ 모음 (10) | ㅏ · ㅑ · ㅓ · ㅕ | | + | ^ |
^ ::: | ㅗ · ㅛ · ㅜ · ㅠ | ^ ::: | ㅗ · ㅛ · ㅜ · ㅠ | ||
줄 57: | 줄 61: | ||
==== 한글 자모의 쓰기 === | ==== 한글 자모의 쓰기 === | ||
- | ^ 초성 (19) | ㄱ · ㄲ · ㄴ · ㄷ · ㄸ · ㄹ · ㅁ · ㅂ · ㅃ · ㅅ · ㅆ · ㅇ · ㅈ · ㅉ · ㅊ · ㅋ · ㅌ · ㅍ · ㅎ | | + | ^ 초성 (19) | |
- | ^ 중성 (21) | ㅏ · ㅐ · ㅑ · ㅒ · ㅓ · ㅔ · ㅕ · ㅖ · ㅗ · ㅘ · ㅙ · ㅚ · ㅛ · ㅜ · ㅝ · ㅞ · ㅟ · ㅠ · ㅡ · ㅢ · ㅣ | | + | ^ 중성 (21) | |
- | ^ 종성 | + | ^ 종성 |
* 현대 한글은 총 11,172((19 * 21 * (27 + 1) = 11,172))개 문자로 표현될 수 있다. | * 현대 한글은 총 11,172((19 * 21 * (27 + 1) = 11,172))개 문자로 표현될 수 있다. |